# 개발제한구역에서 전기자동차충전시설의 설치는 그 부지면적은 3,300제곱미터(1,000평) 이하로 하며, 부대시설로 수소연료공급시설 및 세차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.
# 관련근거 : 「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」 제13조제1항 [별표 1] 제3호
설치 가능 여부
개발제한구역내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은 설치할 수 있는 시설일까?
「 개발제한구역법」 제12조제1항에 의하면 개발제한구역에서는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, 공작물의 설치, 토지의 형질변경 행위를 할 수 없다.
다만, 단서조항에 따라서 특별자치시장·특별자치도지사 · 시장 · 군수 또는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 그 행위를 할 수 있다.
따라서,
전기자동차충전시설은 개발제한구역이 아닌 지역에 입자가 곤란하여 개발제한구역 내에 입지하여야만 그 기능과 목적이 달성되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에 해당되어 허가를 받아 설치 할 수 있다.
설치 규모
그렇다면 전기자동차 충저시설의 설치 규모는 어떻게 될까?
「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시설로서 그 부지면적은 3,300제곱미터(1,000평) 이하로 하며, 부대시설로 수소연료공급시설 및 세차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.
시설을 폐지하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이를 철거하고 원상복구해야 한다.

건축물(부대시설) 건축 규모
「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」제22조 [별표 2]에서 확인할 수 있다.
건폐율 100분의 60 이하로 건축하되 높이 5층 이하, 용적률 300퍼센트 이하로 한다.
설치 자격 요건
전기자동차충전시설은 설치 자격 요건을 따로 정하지 않고 있다.
설치 할 수 없는 토지
그렇다면 개발제한구역에서 전기자동차충전시설을 아무 곳이나 설치할 수 있는 것인가?
「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」제22조 [별표 2]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아래에서 정하는 토지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를 위한 부지에서 제외해야 한다.
① 임야 또는 경지정리된 농지
② 도로·상수도 및 하수도가 설치되지 아니한 지역
※ 개발제한구역(휴)내 수소연료공급시설 설치가 궁금하다면 아래 클릭https://anbak4.com/266
<부동산> 개발제한구역(GB) 수소연료공급시설 설치
# 개발제한구역 행위허가를 받아 설치 할 수 있다.(임야나 경지정리된 농지 제외) # 부지면적은 3,300㎡이하(1,000평이하)로 하되, 그 부대시설로 세차시설을 설치 할 수 있다. # 자동차 전기공급시
anbak4.com
'도시관리 > 개발제한구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발제한구역 취락지구내 용도변경 음식점과 거주기간 관계 (0) | 2024.05.10 |
---|---|
개발제한구역내 소매점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 (2) | 2024.04.26 |
개발제한구역 해제대상지역내 가능한 사업 및 사업시행자 (0) | 2023.09.08 |
개발제한구역(GB)내 창고와 관리용건축물의 차이(비교) (0) | 2023.07.17 |
집단취락의 개발제한구역(그린벨트)해제가능면적 (2) | 2023.07.14 |
헤비브라이트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.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.
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, 결제할 수 있습니다.
글 본문,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,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.
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,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